이번 포스트에서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각 정의와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최근 코로나 사태와 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발생했는데요. 특히 세계경제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과도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이것을 해결하고자 금리인상을 큰 폭으로 단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인플레이션과 함께 따라오는 용어인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정의와 원인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 정의
한 나라의 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면서 화폐의 가치가 낮아집니다. 동시에 통화가치 하락이 일어나면서 환율이 상승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에 1천 원 하던 환율이 1달러에 1,100원으로 올라간다는 뜻이지요.
1. 1. 인플레이션 원인
주 원인은 한국은행 같은 중앙은행에서 돈을 많이 만들어서 시장에 유통하게 되면 그만큼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현상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당연한 현상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가 성장하게 되면 화폐량을 조절할 목적으로 화폐를 매년 발행하게 되고 자연스럽고 일정한 수준의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고 물가 상승률에 따라 노동자의 임금이 올라가고 부동산과 주식 등 투자 자산에 돈이 몰리면서 경제가 활성화되는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보다 과도하고 빠르게 상승할 경우 자칫 경제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화폐 통화량을 줄이거나 금리 인상이라는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2. 디플레이션 정의
한 나라의 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면서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동시에 통화가치가 올라가면서 환율이 하락하게 되지요. 예를 들어 1달러에 1,000원하던 환율이 1달러에 900원으로 내려간다는 뜻입니다.
2. 1. 디플레이션 원인
디플레이션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드문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경우 경제 불안을 해소하고자 시중 통화량을 줄이기 위해 금리인상 정책을 펴면서 물가를 의도적으로 하락시키려고 합니다.
디플레이션은 일시적인 정책이지 계속해서 사용하기에는 큰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 소비감소와 생산 축소, 기업 도산 증가, 그리고 실업자 증가로 이어지면 시장 경제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3. 스태그플레이션 정의
스테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 합성어로 물가는 상승하면서 경기 침체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3. 1.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을 꼽자면 공급 문제입니다. 그중에서도 석유나 천연가스 같은 에너지 자원의 공급에 문제가 생겼을 때 기업들은 제품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되고 수요 대비 공급이 줄면서 물가가 상승함과 동시에 경기침체로 이어져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보다 더 최악의 상화잉라 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안 좋은 상황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지요. 즉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려고 금리를 인상하고 통화량을 줄이면 디플레이션이 일어나 경기침체 발생하고 디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저금리 정책과 화폐를 찍어내면 인플레이션이 더욱 과도하게 발생하여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대표 케이스
인플레이션을 겪었던 대표적인 나라는 짐바브웨입니다. 돈을 과도하게 발행하면서 물가가 엄청나게 상승하게 되었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돈이 휴지보다 못한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결국 화폐의 기능이 사라지고 경제활동이 불가능해지면서 미국 달러로 해결하거나 물물교환이 성행하는 후진적인 경제상황으로 바뀌어버렸습니다.
디플레이션을 겪었던 대표적인 나라가 일본입니다. 1980년대까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었던 일본은 이후 경제가 침체되면서 심각한 디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까지 화폐량을 늘리고 저금리를 유지하는 인플레이션을 유도함으로써 경제 부흥을 일으키고자 노력했습니다.
동시에 엔화가치를 낮춰서 수출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다만 돈을 과도하게 찍어내면서 국가부채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나 있는 상황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분 계좌이체 지연인출 제도 관련 (0) | 2022.10.31 |
---|---|
레고랜드 사태 간단정리 (0) | 2022.10.27 |
주식 업종 분석하기 철강 산업 (0) | 2022.10.05 |
인버스 뜻 투자방법 (0) | 2022.08.30 |
잭슨홀 미팅 의미와 미국 연준의장 연설 (0) | 2022.08.26 |
신주인수권 의미 행사방법 (0) | 2022.08.24 |
기준금리 인상 환율 영향 (0) | 2022.08.18 |
미국이 TSMC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