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환사채 목적과 호재 악재

by 21세기청년 2022. 8. 3.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이자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회사채를 말합니다. 일반 채권과 마찬가지로 만기일이 정해져 있고, 만기일 전까지 정기적으로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입니다. 

 

전환사채 목적과 호재 악재

1. 개요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것을 전환권 행사라고 말하는데요. 전환권 행사를 해서 주식을 받은 후에는 당연히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소멸합니다. 채권자가 원하지 않으면 전환권 행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돈으로 상환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채권자의 일방적인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전환사채는 확정이자부 채권이면서 잠재적 주식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띄는 채권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역사

전환사채는 1843년 뉴욕의 에리에 철도회사가 처음으로 발행했습니다. 당시 철도 사업이 성장하면서 많은 자금이 필요했고 수익발생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철도가 완성된 후 수익이 발생하면 주식의 가격 상승과 배당금을 지급하는 사채를 개발한 것이 시초입니다.

 

3. 종류

제 3자 보증 여부에 따라서 보증부 전환사채, 담보부 전환사채, 무보증 전화사채 이렇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4. 상세정보

전환사채는 회사채에 의한 자금 조달이 쉬워지기 때문에 자금 조달 방법으로 많이 쓰입니다. 회사는 주주와 비주주 모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발행을 결정하지만 각 회사별 정관에 따라서 주주총회가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가 붙기 때문에 보통의 회사채에 비해 이자율이 낮습니다. 전환권이 있어도 채권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일반 채권과 똑같이 만기일이 정해져 있고 정기적으로 이자가 지급되는데요. 

전환사채의 이자가 싸면 주식으로 전환 시 좀더 저렴하게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이자가 비싸면 주식을 비싼 가격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전환사채는 주식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전환권을 행사하면 채권을 주식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신주가 상장하게 됩니다. 이것은 유상증자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환사채가 발행되면 기존 주주는 자신의 지분율이 낮아지게 될 가능성이 높고 장이 좋지 않은 경우 물량에 부담이 되어 기존 주주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서 재무상태표를 작성할 때 전환권 행사로 인한 희석효과를 고려하여 주석에 희석주당 이익을 별도로 계산해서 공시합니다.

 

5. 전환사채 호재와 악재

전환 사채의 목적에 따라 호재와 악재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호재일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가 미래 수익을 위해 투자하거나 유망한 산업을 키우려는 목적이거나 신규시설 투자 등으로 인해 실적 상승이 예상될 때입니다.

 

반대로 악재인 경우에는 회사에 자금이 없어서 돈을 타인으로부터 빌려서 운영하려는 것. 즉, 운영자금을 받는 목적인 경우에는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전환사채를 발행했다고 해서 위의 목적으로 인해 무조건 호재다 악재다 판정하기에는 애매모호한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일반 투자자가 100퍼센트 기업의 내부 사정을 알 수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환사채에 대한 소식이 나왔을 때는 그 회사의 재무제표와 이슈에 대해 꼼꼼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업공시

이번 글에서는 기업 공시에 나오는 주식 용어들과 해당 이슈가 주가에 긍정적인 공시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올바른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업 공시를 통해

stock-realt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