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부동산세금 상식 4편 누진세

by 21세기청년 2021. 4. 5.

이번 포스팅은 부동산 세금 중 관심 있게 봐야 할 누진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난 글에서 부동산 보유 세금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포스팅했었는데요.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 총 개수와 합산 공시 가격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이 누진세율이 적용되어 높아진다고 했었습니다. 우리나라 세금 상당수가 누진세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세금 누진세율에 대해 간략히 이야기하겠습니다.

 

 

부동산 세금 상식 4편 누진세

누진세율은 앞서 언급한대로 고가의 부동산이 많으면 많은수록 점차 높아져 세금을 더 많이 내는 비율을 말합니다. 결국 소득과 재산의 불평등을 줄여보자는 취지에서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러한 누진세에 대한 내용을 알고 합법적으로 절세하기 위해 명의 선정이나 매도 시기를 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누진세율은 구간에 따라 계단식으로 세율을 적용하는데요. 재산세를 예를 들자면 과세표준이 6천만 원 이하는 0.1%, 6천만 원 초과 1억 5천만 원 이하는 0.15%이고 1억 5천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는 0.25%로 일정 간격의 세율이 아닌 앞선 단계의 세율을 더한 세율이 적용됩니다.

 

이전 글에서 계산 방식을 같이 언급했지만 복잡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부동산 세금에 초보 수준인 필자도 공부하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이런 복잡해 보이는 듯한 수학공식에서 꼭 알아야 할 사항은 <과세표준 X 세율- 누진공제금액>입니다. 이것만 기억하고 있으면 재산세든 종부세 등 구하는 게 크게 어렵진 않을 것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