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와 공급은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시장 관계를 나타냅니다. 수요와 공급 곡선을 통해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의 양과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을 결정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와 공급이라는 개념은 미시경제를 분석하는데 필수적이며 거시경제학에서도 수요와 공급 모델을 이용합니다.
경제학에서 수요와 공급
1. 개요
1. 1. 수요
수요는 경제 주체들이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능력이 되어 그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 또는 계획을 말합니다. 수요와 공급 곡선에서 수요 곡선은 가격이 올라갈 수록 수요량이 감소한다는 법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2. 공급
공급은 생산자들이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일정 시간동안 생산해서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나 계획을 뜻합니다. 완전경쟁시장 체제에서 공급 곡선은 판매자가 생산을 중단하지 않을 만한 최소한의 가격보다 높은 부분에서 재화의 생산에 대한 한계 비용 곡선과 일치합니다.
2. 분석
수요와 공급 곡선을 이용해서 분석할 때 수량을 가로축, 가격을 세로축에 놓고 그 상관관계를 그래프의 곡선으로 나타냅니다. 수요 곡선이나 공급 곡선의 형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시장에서의 수요나 공급 수량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에 대해 수요 또는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라고 말합니다.
가격 탄력성이 커지면 조금의 가격 변동에도 수량의 변동이 크게 바뀔만큼 민감한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시장 가격이 변화하면 수요 곡선이나 공급 곡선 상에서 판매자 혹은 구매자의 의향에 따라 변화하는데요. 이것을 수요 곡선 또는 공급 곡선 상에서의 이동이라고 말합니다.
시장에서 가격 이외의 어떤 변수로 인해 같은 가격에 대한 수요량 또는 생산량이 바뀌면 수요곡선 또는 공급곡선 그 자체가 움직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가격에 대해 많은 수량을 구매 또는 생산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일어난다면 수요 곡선 또는 공급 곡선은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지요.
3. 균형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경제 주체들이 충분히 거래하여 더 이상 양쪽의 효용이나 이윤을 창출할 수 없는 상태를 경쟁 균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때 가격을 균형 가격, 거래량을 균형 거래량이라고 말하지요.
완전 경쟁 체제에서 수요와 공급 곡선에서 두 곡선이 일치하는 부분에서 경쟁 균형이 만들어집니다.
3. 1. 균형의 안전성
시장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시장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불일치한 상태에서도 이것을 조절하여 시장이 경쟁 균형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다면 시장에서 정해지는 가격은 상당히 불안정해질 것입니다. 수요와 공급 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정해지는 균형 가격의 안전성 여부는 다음 기준으로 판단이 가능합니다.
- 레온 왈라스 안정 :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면 가격이 하락,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
- 마셜안정 : 공급 가격이 수요 가격을 초과하면 수량이 감소, 수요 가격이 공급 가격을 초과하면 수량 증가
4. 가격
시장 경제에서 정부가 나서서 상한 가격, 하한 가격을 통제하는 것을 가격 통제라 합니다. 상한 가격이 정해져 있다면 가격 상승에 따른 공급량 증가와 수요량 감소를 통한 초과 수요 해소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최저 임금 등에서 하한 가격이 설정되어 있으면 가격의 하락에 의한 공급량 감소와 수요량 증가를 통한 초과 공급 해소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장단점 (0) | 2022.07.27 |
---|---|
주식 우선주 발행 이유 (0) | 2022.07.26 |
금산분리 역사와 찬성 반대 (0) | 2022.07.25 |
신용카드 역사 (0) | 2022.07.20 |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조건과 신청기간 (0) | 2022.07.18 |
파업 왜 필요한가? (0) | 2022.07.15 |
재건축 재개발 차이점 (0) | 2022.07.14 |
공매도 장점 단점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