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주택 가격에 대한 이해와 주택 가격이 형성되는 심리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입니다. 주택은 삶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실물 자산입니다. 주택의 가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택 가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기
주거 심리
첫 번째 주택 가격에는 주거 심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깨끗한 환경, 편리한 교통, 주거인들의 교양 수준, 직장과의 거리, 자녀들의 학교와의 거리 등등 이들 요소들의 상관관계에 따라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해 가격이 반영되게 됩니다. 누구나 좋은 환경에서 살고 싶고 각자 느끼기에 살기 좋아 보이는 곳은 가격이 높은데 사람들은 강한 주거 심리에 의해 주택 가격이 거품인지 아닌지 제대로 판단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심리
두 번째 주택 가격에는 투자 심리 역시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주택의 투자 심리는 입주 이전 형성되는 분양권 거래에서 대부분 형성이 되며 4년 차 이전에 대부분 정리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 심리는 대부분 신규로 분양하는 아파트나 신도시에서 강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처럼 주택을 판단할 때의 기본기는 위의 주거 심리와 투자심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요. 특히 주거 심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자면,
- 주거지역에 살고 있는 연령대 파악
- 버스 노선 및 지하철역까지 거리 파악
- 학교가 인접해있는지 파악
- 소음과 공해가 있는 지역인지 파악
- 주택의 앞 뒤로 시야가 잘 확보된 곳인지 파악
조금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 단지 별로 상가 지역과의 거리
- 인기 학군 배정이 가능한지 확인
- 인지도 있는 아파트인지 확인
- 개발계획 영향권에 있는 지역인지 확인
- 주변 공급에 따른 변수가 있는 지역인지 확인
- 이사철에 따른 가격 변동이 있는 곳인지 확인
- 정부 정책에 따른 영향을 받는 지역인지 확인
위와 같은 요소들이 주택의 현재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거라 볼 수 있습니다. 주택을 매매할 때는 과거와 현재 가격을 비교 분석해보고 해당 지역의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지역주민에게 정보를 얻으면서 주택 가격이 적정한 가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 재개발 차이점 (0) | 2022.07.14 |
---|---|
공매도 장점 단점 (0) | 2022.07.13 |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0) | 2022.07.06 |
지아이텍 공모주 경쟁률이 무려 2968대1 ! (0) | 2021.10.14 |
다양한 종합소득세 신고 유형 (0) | 2021.06.04 |
세금을 내기전 알아야 할 기초용어 (0) | 2021.06.04 |
우리나라 아파트의 특징과 역사 (0) | 2021.05.24 |
주식 초보자가 알아야 할 펀드 상식 (0) | 2021.05.21 |